연구소에서 제조사업부로 소속을 옮기니 개발 관련된 건 다 자갈밭이었다.
연구소에 있을 땐 후임들이 알아서 삼바 설치하고 운용하고 했는데,
여긴 그 비싼 서버 갖다놓고도 쓰지도 않고 방치...
그래서 리눅스 서버에 삼바 설치하고 공용폴더 만들어줬더니
뻥 좀 붙여서 기립박수 받았다. ㅎㅎ
암튼, 백만년만에 삼바 설치하면서 나온 이슈 정리해 본다.
사용자 : user1, user2, user3
그룹명 : product
♣ 사용자 생성하기
$ sudo useradd -m -g product user1
- m 옵션을 줘야 home 밑에 계정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
- g 옵션을 주고 그룹을 할당한다. (이거 빼먹었으면 usermod 에서 추가할 수 있다.
♣ 신규 사용자의 passwd 설정
$ sudo passwd user1
♣ 위 모든 걸 한방에 할 수 있는게
$ sudo adduser user1
- useradd 가 아니라, adduser 로 하면 이름 등등을 기입하라고 나온다.
♣ 사용자 확인
$ sudo vi /etc/passwd
♣ 그룹 확인
$ sudo vi /etc/group
♣ 기존 사용자를 기존 그룹에 추가하기
$ sudo usermod -a -G product user1
♣ 삼바에 신규 사용자 추가하기
$ sudo smbpasswd -a user1
♣ 삼바 설정
- 사용자는 개인 디렉토리와 공용디렉토리 common 만 보인다.
- common 에서 남이 작성한 파일은 다른 사람이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.
- 제조팀 이외는 접근할 수 없다.
♣ 삼바 개인 설정
/etc/samba/smb.conf 파일을 열고 아래와 같이 팀원들을 추가함.
[user1]
comment = user1 HOME
path = /home/user1
public = no
writable = yes
browseable = no
valid users = user1
♣ 삼바 공용 공간 설정
/home/common 디렉토리를 공용 디렉토리로 만들고,
디렉토리의 group 권한을 product 로 둔다.
/etc/samba/smb.conf 에서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.
user1 이 올린 파일을 user2 가 수정할 수 없었는데 force group 으로 해결했다.
[common]
comment = common HOME
path = /home/common
public = yes
writable = yes
directory mode = 0775
create mode = 0775
force group = product
valid users = user1 user2 user3
추가사항
♣ 사용자 삭제
$ sudo userdel [user] // 계정만 삭제
$ sudo userdel -r [user] // home directory 포함하여 삭제 (그룹에서도 삭제되려나?)
'삽질미학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Server에 HPE SSA 설치하기 (0) | 2021.11.06 |
---|---|
Ubuntu 18 에 Docker 설치하기 (0) | 2020.03.28 |
Ubuntu Server TimeZone 바꾸기 (0) | 2020.01.14 |
charset euc-kr 로 작성된 파일을 charset UTF8 파일로 변경하기 (0) | 2017.12.29 |
[VI] NerdTreeIgnore 설정 시 file만 적용하는 법 (0) | 2017.06.01 |